📌 이 글은 각 후보의 공식 공약집을 바탕으로 정리한 것으로, 정치적 편향 없이 투자자 입장에서 중립적으로 해석한 내용입니다.
🧩 코리아 디스카운트, 왜 생겼을까?
‘코리아 디스카운트’는 한국 기업이 해외보다 낮은 가치로 평가받는 현상입니다. 대표적인 원인으로는 다음과 같은 것들이 있습니다.
- 대주주 중심 경영 → 소액주주 권익 무시
- 불투명한 지배구조 → 기업 신뢰도 하락
- 배당 성향 낮음, 세금 부담 높음
- 제도 불확실성, 내부자 거래 의혹
이런 환경은 국내외 투자자들의 신뢰를 떨어뜨리고, 기업가치 저평가 → 주가 부진 → 자본시장 위축으로 이어집니다.
🗳️ 후보별 자본시장 공약 요약
구분 | 이재명 후보 (더불어민주당) | 김문수 후보 (국민의힘) |
접근 방식 | 강한 규제 중심의 상법 개정 | 유연한 세제 중심의 자본시장법 개정 |
주된 목표 | 대주주 견제, 소액주주 권리 보장 | 투자 활성화, 세금 부담 완화 |
공약 키워드 | 충실의무 확대, 독립이사, 자사주 소각 | 배당소득 분리과세, 상속세 완화, 신주 우선배정 |
🔍 핵심 공약 쉽게 풀어보기
1. 🧑⚖️ 이사의 충실의무 확대 (이재명)
- ❌ 문제: 이사가 회사 경영진이나 대주주에게만 충성함
- ✅ 개선: 법으로 ‘주주에게 충실’할 의무를 명시
- 🎯 효과: 소액주주 보호 강화, 경영진 책임 확대
2. 🏛️ 독립이사 의무 비율 도입 (이재명)
- ❌ 문제: 이사회가 대주주 위주로 구성됨
- ✅ 개선: 외부 인사(독립이사)를 일정 비율 이상 두도록 법제화
- 🎯 효과: 의사결정의 공정성 확보, 대주주 견제 기능 강화
3. 🔍 감사위원 분리선출 확대 (이재명)
- ❌ 문제: 대주주가 회계감사도 마음대로 통제
- ✅ 개선: 감사위원은 독립적으로 따로 선출
- 🎯 효과: 회계 투명성 강화, 내부 비리 감시 기능 확보
4. 🗳️ 집중투표제 활성화 (이재명)
- ❌ 문제: 소액주주 의결권 행사 어려움
- ✅ 개선: 소액주주가 특정 이사 후보에게 몰표 가능
- 🎯 효과: 소수주주의 영향력 강화
5. 🧾 공정가액 기준 합병가 적용 (이재명)
- ❌ 문제: 대주주가 자신에게 유리한 가격으로 합병
- ✅ 개선: 합병 시 공정한 가격을 기준으로 적용
- 🎯 효과: 주주 간 불공정 합병 방지
6. 🏭 물적분할 시 신주배정 (양측 공통)
- ❌ 문제: LG화학처럼 자회사 상장 후 모회사 주주 피해
- ✅ 개선: 자회사 신주를 기존 모회사 주주에게 배정
- 🎯 효과: 소액주주 권익 보전, 이익 공유 구조 확보
7. 🧠 기업 인수 시 의무공개매수제 (양측 공통)
- ❌ 문제: 경영권 바뀌어도 기존 주주는 아무 대응 못함
- ✅ 개선: 주식을 팔 기회를 보장 (공개매수)
- 🎯 효과: 주주 재산권 보호, 투명한 경영권 변경
8. 🔥 자사주 원칙적 소각 검토 (이재명)
- ❌ 문제: 대주주가 자사주를 지배력 유지 수단으로 사용
- ✅ 개선: 자사주는 기본적으로 없애는 방향(소각)
- 🎯 효과: 자사주 악용 방지, 시장 신뢰 제고
9. 🚫 내부거래 감시·제재 강화 (이재명)
- ❌ 문제: 내부 일감 몰아주기로 대주주 사익 챙김
- ✅ 개선: 감시·처벌 강화로 내부거래 통제
- 🎯 효과: 공정 경쟁, 투자자 보호
10. 💰 배당소득 분리과세 & 장기보유 혜택 (김문수)
- ❌ 문제: 주식 투자에 세금 많고 복잡
- ✅ 개선: 배당소득 따로 과세 + 장기보유 시 세금 감면
- 🎯 효과: 장기투자 유도, 중산층 자산 형성 지원
11. ⚖️ 상속세 완화 & 배당세 폐지 (김문수)
- ❌ 문제: 상속세가 높아 경영 승계에 부담, 소액주주와 충돌
- ✅ 개선: 상속세 인하 + 배당소득세 폐지 검토
- 🎯 효과: 기업 투자 확대, 자본시장 유연화
🧠 철학의 차이: 규제냐, 인센티브냐?
- 📘 이재명 후보: “강한 법과 제도로 시장을 바꿔야 한다” → 상법 개정 중심, 대주주 견제 강화
- 📕 김문수 후보: “세금 부담을 줄여 시장이 스스로 효율화되게 하자” → 실용적 제도 개선, 투자 장려
둘 다 ‘주주 보호’라는 같은 목적을 향하지만, ‘규제 강화’ vs ‘시장 유도’라는 전략의 차이가 있습니다.
🧭 마무리 요약
핵심 구분 | 이재명 후보 | 김문수 후보 |
제도 방향 | 강력한 법 개정 | 현실적 제도 완화 |
주주 보호 방식 | 법·제도 강화 | 세제 혜택 중심 |
대주주 견제 | 자사주 소각, 공정가 기준 합병 등 | 공개매수·신주 배정 등 |
주식시장 활력 | 규제 통해 신뢰 회복 | 세금 완화로 유입 유도 |
'금융' 카테고리의 다른 글
BoA 전략가가 주목한 3B 지표: XBD, IXG, Bitcoin (2) | 2025.05.31 |
---|---|
SLR 규제 완화란 무엇이며 왜 중요한가? (0) | 2025.05.27 |
가속 듀얼 모멘텀 전략 (0) | 2024.03.24 |
BAA 전략 (0) | 2024.03.23 |
거인의 포트폴리오 (1) | 2024.03.23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