728x90

분류 전체보기 364

정렬

정렬이란? 정렬 알고리즘의 안정성 정렬 알고리즘은 안정된(stable) 알고리즘과 그렇지 않은 알고리즘으로 나눌 수 있다. 안정된 정렬이란 같은 값을 가진 요소의 순서가 정렬 전후에도 유지되는 것을 말한다. 안정되지 않은 알고리즘은 같은 점수인 경우 반드시 학번 순서대로 정렬되지는 않는다. // 정렬 전 { 0 = 13, 1 = 9, 2 = 6, 3 = 4, 4 = 6, 5 = 12 } // value를 오름차순으로 정렬 // 2,4 의 순서가 유지된다 { 3 = 4, 2 = 6, 4 = 6, 1 = 9, 5 = 12, 0 = 13 } 내부 정렬과 외부 정렬 정렬할 모든 데이터를 하나의 배열에 저장할 수 있는 경우에 내부 정렬을 사용하고 정렬할 데이터가 너무 많아서 하나의 배열에 저장할 수 없는 경우에 ..

당신의 뇌는 최적화를 원한다 - 아세틸콜린

아세틸콜린 아세틸콜린은 인지기능과 영감, 작업효율, 창조력, 발상력 등과 관련된 뇌 내 물질이다. 아세틸콜린을 조절할 수 있으면 일의 효율을 높이고 영감을 얻기 쉽다. 의욕이 나지 않으면 일단 시작하라 무기력할 때 의욕이 생길 때까지 기다리는 사람이 많지만, 그것은 잘못된 일이다. 오히려 '의욕이 나지 않으니 일단 시작하자'는 것이 뇌과학적으로 올바른 동기부여 방법이다. 우리 뇌는 측좌핵의 신경세포가 활동하면 아세틸콜린이 분비되면서 점점 기분이 고양되고 의욕이 솟는다. 하지만 측좌핵은 '자극'이 주어졌을 때만 활동을 시작한다. 마냥 기다린다고 해서 자극을 얻을 수 없다. 그러므로 의욕이 나지 않으면 일단 시작하는 것이 정답이다. 아세틸콜린과 잠 렘수면 중에는 아세틸콜린이 활성화된다. 아세틸콜린이 활발하게..

도서 2023.12.11

당신의 뇌는 최적화를 원한다 - 멜라토닌

멜라토닌 멜라토닌은 잠을 자기 위한 2가지 시스템 중에 하나로 우리를 금방 잠들게 하고, 수면의 질과 양을 늘린다. 눈에 들어오는 빛의 양이 줄어들면 그것을 감지한 송과체가 멜라토닌을 분비한다. 멜라토닌은 주간보다 야간에 5~10배나 많이 생성되고 새벽 2~3시쯤 생성량이 최고조에 이른다. 멜라토닌을 분비하는 7가지 방법1. 침실을 깜깜하게 하고 잔다. 빛을 싫어하는 멜라토닌의 특성상 자는 동안 망막에 빛이 들어오면 분비가 억제된다. 가능하면 수면등도 끄고 되도록 어둡게 해 놓고 자는 것이 가장 쉽게 멜라토닌 분비를 촉진하는 방법이다. 세로토닌 분비를 위해 커튼을 열고 잘 때 빛이 들어오는 방이라면 숙면을 위한 멜라토닌 분비가 더 중요하므로 창을 가리고 자는 것이 좋다.2. 자기 전에 어두운 방에서 긴장..

도서 2023.12.11

재귀 알고리즘의 비재귀적 표현

예제 재귀 알고리즘 static void recur(int n) { if (n > 0) { recur(n - 1); System.out.println(n); recur(n - 2); } } 꼬리 재귀의 제거 메서드의 꼬리에서 재귀 호출하는 메서드 recure(n-2)는 아래처럼 바꿀 수 있다. n의 값을 n-2로 업데이트하고 메서드의 시작지점으로 돌아간다 코드로 표현하자면 이렇게 할 수 있다. static void recur(int n) { while (n > 0) { recur(n - 1); System.out.println(n); n = n - 2; } } 재귀의 제거 앞에 재귀를 제거하기 위해서는 n의 값을 잠시 저장해야 할 필요가 있다. n을 출력하기 전에 recur(n-1)을 실행해야 하기 때문..

유클리드 호제법(Euclidean algorithm)

유클리드 호제법(Euclidean algorithm)은 최대공약수(Greatest Common Divisor, GCD)를 구하는 알고리즘 중 하나이다. 이 알고리즘은 고대 그리스의 수학자 유클리드(Euclid)에 의해 고안되었으며, 두 정수의 최대공약수를 효과적으로 찾는 데 사용된다. 최대공약수(Greatest Common Divisor, GCD)는 두 개 이상의 정수의 가장 큰 공약수를 나타내는 개념이다. 공약수는 주어진 두 수의 모두에 나누어 떨어지는 수를 말하며, 최대공약수는 이러한 공약수 중에서 가장 큰 수를 의미한다. 두 수 24와 36의 경우 공통된 약수는 1, 2, 3, 4, 6, 12이다. 이 중에서 가장 큰 수인 12가 두 수 24와 36의 최대공약수가 된다. 따라서 GCD(24, 36)..

당신의 뇌는 최적화를 원한다 - 세로토닌

세로토닌 치유물질인 세로토닌은 각성, 기분, 마음의 안정과 깊은 연관이 있다. 세로토닌이 분비되면 의욕적인 마음이 들고 몸에 활력이 솟고 기분이 쾌활해진다. 머리가 맑아져서 곧바로 일을 시작할 수 있는 상태가 된다. 행복이라고 하면 도파민을 연상하기 쉬운데 도파민의 행복감이 "해냈다!"라는 성취감 같은 강렬한 감정인데 비해 세로토닌의 행복감은 '평온함', '느긋함' 같은 감정을 기반으로 한 온화한 감정이다. 행복하다고 느끼며 편안해지려면 반드시 세로토닌이 제대로 기능해야 한다. 세로토닌의 합성과 분비는 해가 뜨면 활발해지고 오후에서 밤이 됨에 따라 점점 줄어든다. 그리고 '논렘수면'(안구가 움직이지 않는 깊은 수면) 중에는 전혀 분비되지 않는다. 세로토닌을 활성화하는 방법 기상 후 2~3 시간 동안 뇌가..

도서 2023.12.09

당신의 뇌는 최적화를 원한다 - 아드레날린

아드레날린 아드레날린은 공포나 불안, 분노를 느낄 때 분비되는 '투쟁'과 '도피'를 돕는 호르몬이다. 노르아드레날린은 주로 뇌와 신경계를 중심으로 활약하고 아드레날린은 심장과 근육을 중심으로 영향을 미친다. 아드레날린이 적당히 분비되면 신체 기능과 근력이 일시적으로 높아지고 시간이 느리게 흐르는 듯 느껴진다. 하지만 과잉분비되면 이성을 잃거나 근육이 굳어지는 부작용이 있다. 운동선수들이 시합전 기합을 넣는 행위는 뇌를 자극해 아드레날린을 분비시키는 효과가 있다. 하지만 아드레날린의 효과는 길어야 30분이다. 중요한 회의나 시험을 앞두고 긴장된다면 아드레날린과 노르아드레날린이 분비되어 '몸과 뇌가 최고의 성과를 발휘할 수 있는 상태'라고 이해하면 좋을 것이다. 공복과 아드레날린 배고플 때 느끼는 짜증은 아..

도서 2023.12.08

당신의 뇌는 최적화를 원한다 - 노르아드레날린

노르아드레날린 노르아드레날린은 '투쟁 또는 도피'라는 상황에서 분비된다. 공포를 느꼈을 때 가장 많이 분비되며 가벼운 스트레스 상황에서도 분비된다. 노르아드레날린이 분비되면 각성도와 집중력이 올라간다. 노르아드레날린을 이용한 업무 방식 벼락치기 업무 방식 어떤 일을 할 때 기간이나 시간을 정하기만 해도 효율이 높아진다. 마감이 없는 일도 스스로 마감을 설정하여 압박을 가하면 주의력과 집중력이 올라가는 효과를 볼 수 있다. 벼락치기 공부, 업무 방식은 시간의 효율을 높이고 결과물의 질을 높이는 효과를 준다. 노르아드레날린형 동기부여 스포츠에서 투장, 매장이라고 불리는 유형의 감독이 약체팀을 일으켜 세우기 위해 초빙되면, 처음 한두 해는 눈부신 성과를 보여준다. 하지만 곧 그 기세를 잃게 마련이다. 엄격한 ..

도서 2023.12.07

구간 합

구간 합은 합 배열을 이용하여 시간 복잡도를 더 줄이기 위해사용하는 특수한 목적의 알고리즘이다. 구간 합 알고리즘을 활용하려면 합 배열을 구해야 한다. 합 배열을 미리 구해 놓으면 기존 배열의 일정 범위의 합을 구하는 시간 복잡도가 O(N)에서 O(1)로 감소한다. 1차원 배열의 합 배열 1차원 합 배열 S 정의 S [i] = A [0] + A [1] +... + A [i-1] + A [i] 합 배열 S를 만드는 공식 S [i] = S [i-1] + A [i] i-1에서 알 수 있듯 합 배열은 기존 배열보다 하나 크게 생성해서 1번 인덱스부터 값이 들어간다. i에서 j까지의 합을 구하는 공식 S [j] - S [i-1] 1에서 3까지의 구간합 S [3] - S [0] 5에서 5까지의 구간합 S [5] -..

728x9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