728x90

분류 전체보기 364

리액트 훅(Hooks)

리액트 16.8부터 훅(Hooks)이 도입되어 함수형 컴포넌트에서 상태와 생명주기 기능을 사용할 수 있게 되었다.화면을 그릴 때마다 호출되는 훅의 숫자와 순서를 동일하게 하기 위하여 루프, 조건 분기, 콜백 함수 안에서는 훅을 호출할 수 없다. 이런 위치에서 훅을 호출하는 코드를 작성하면, 빌드 에러 또는 실행 시 에러가 발생한다. 따라서, 훅은 컴포넌트의 최상위 레벨에서만 호출되어야 한다. 또한, 리액트 훅은 반드시 함수 컴포넌트에서만 사용해야 한다.용도용도훅컴포넌트 데이터 관리useMemouseCallbackuseStateuseReducer컴포넌트 생명 주기 대응useEffectuseLayoutEffect컴포넌트 메서드 호출useRefuseImperativeHandle컴포넌트 간의 정보 공유useCo..

Javascript/React 2024.05.26

Flyweight Pattern

플라이웨이트 패턴은 많은 수의 유사한 객체를 생성하는 상황에서 메모리 사용을 최적화하기 위한 패턴이다.이 패턴은 객체의 내부 상태 중에서 공유 가능한 부분을 외부로 분리하여 객체들 간에 공유하도록 설계한다. 이를 통해 객체의 수를 줄이고 메모리를 효율적으로 사용할 수 있다.구성 요소Flyweight(플라이웨이트):공유 가능한 객체의 인터페이스를 정의한다. 내부 상태와 외부 상태를 받아들이는 메서드가 있다.ConcreteFlyweight(구체적인 플라이웨이트):플라이웨이트 인터페이스를 구현하고 내부 상태를 가지는 구체적인 클래스입니다. 여러 개의 인스턴스가 생성될 수 있다.FlyweightFactory(플라이웨이트 팩토리):플라이웨이트 인스턴스를 생성하고 관리하는 역할을 한다. 이미 생성된 인스턴스를 재사..

디자인 패턴 2024.05.25

Factory Pattern

팩토리 패턴은 객체 생성을 캡슐화하고, 클라이언트 코드에서 어떤 클래스의 인스턴스를 생성할지 결정하는 패턴이다.이는 객체의 생성을 추상화하여 시스템의 유연성과 확장성을 향상하며, 객체 생성 코드를 클라이언트 코드로부터 분리한다.팩토리 패턴의 종류간단한 팩토리 패턴(Simple Factory Pattern)하나의 팩토리 클래스가 객체의 생성을 담당하는 방식.클라이언트는 팩토리 클래스의 메서드를 호출하여 객체를 생성.class SimpleFactory { public static Product createProduct(String type) { if ("A".equals(type)) { return new ConcreteProductA(); } else if ("B".eq..

디자인 패턴 2024.05.18

Facade Pattern

퍼사드 패턴은 복잡한 시스템이나 서브시스템의 인터페이스를 단순화시켜 사용자에게 간단한 하나의 인터페이스를 제공하는 구조적인 패턴이다.이 패턴은 클라이언트가 복잡한 시스템 내부 구조를 알 필요 없이 특정 기능을 수행할 수 있도록 한다. 퍼사드를 사용해야 하는 상황복잡한 서브시스템이 존재하는 경우:시스템이 여러 개의 복잡한 서브시스템으로 구성되어 있을 때, 각 서브시스템을 단순한 인터페이스로 노출시켜야 하는 경우에 퍼사드 패턴을 사용할 수 있다.클라이언트와 서브시스템 간의 결합도를 낮춰야 하는 경우:서브시스템의 변경이나 교체가 빈번하게 발생하는 경우, 클라이언트와 서브시스템 간의 직접적인 결합을 피하고자 할 때 퍼사드를 도입할 수 있다.인터페이스의 간소화가 필요한 경우:여러 개의 복잡한 인터페이스를 단일한 ..

디자인 패턴 2024.05.12

Decorator Pattern

데코레이터 패턴은 객체의 구조를 변경하지 않고 기능을 동적으로 확장할 수 있는 디자인 패턴 중 하나이다.이 패턴은 객체에 새로운 기능을 추가하거나 변경할 때, 서브 클래스를 생성하지 않고도 구현할 수 있도록 한다. 데코레이터 패턴의 주요 구성 요소Component(구성 요소):기본 기능을 정의하는 인터페이스 또는 추상 클래스이다.ConcreteComponent(구체적인 구성 요소):Component의 구현 클래스로, 실제로 기본 기능을 구현한다.Decorator(데코레이터):Component를 상속하며, Component의 하위 클래스들을 데코레이팅하는 역할을 한다. 데코레이터는 동일한 인터페이스를 갖고 있어야 한다.ConcreteDecorator(구체적인 데코레이터):Decorator의 구현 클래스로,..

디자인 패턴 2024.05.05

java.security.invalidKeyException: Illegal Key Size

암호화와 Illega key size 에러AES-256 암호화 등과 같이 128bit를 초과하는 암호화를 사용하려 할 때, 이러한 문제를 마주칠 수 있다. 이 문제는 미국의 수출 규제에 따른 것으로 과거에는 미국의 수출 규제로 인해 강력한 암호화 키를 포함하는 암호화 소프트웨어를 수출하는 것에 제한이 있었다. Java는 기본적으로 JCE 정책을 제공하는데 이 정책은 128 bit로 키 길이가 제한되어 있어서 이를 초과하는 경우에 에러가 발생하는 것이다. 이 정책은 ${JAVA_HOME}/jre/lib/security/local_policy.jar의 default_local.policy 파일에서 확인할 수 있다.// Some countries have import limits on crypto streng..

JVM 2024.05.04

Composite Pattern

컴포지트 패턴은 객체들을 트리구조로 구성하여 개별 객체와 객체 컬렉션을 동일하게 다루도록 하는 구조적 디자인 패턴이다. 컴포지트 패턴의 구성 요소Component (구성 요소):복합 객체와 개별 객체가 구현해야 하는 공통 인터페이스를 정의한다.복합 객체와 개별 객체를 동일하게 취급하기 위한 메서드들이 정의된다.Leaf (단일 객체):복합 객체의 구성 요소가 되는 개별 객체를 나타낸다.Component 인터페이스를 구현하고, 자식을 가질 수 없다.Composite (복합 객체):Leaf나 다른 Composite 객체를 자식으로 가질 수 있는 객체를 나타낸다.Component 인터페이스를 구현하면서 자식 객체를 관리하는 메서드들이 정의된다.컴포지트 패턴의 예시로 그래픽 객체를 다루는 시스템을 생각해볼 수 있..

디자인 패턴 2024.05.01

Command Pattern

커맨드 패턴은 명령을 객체로 캡슐화하여 관리할 수 있게 한다. 커맨드 패턴이 사용되는 상황요청과 수신자의 분리: 커맨드 패턴을 사용하면 요청을 하는 객체(클라이언트)와 실제 작업을 수행하는 객체(수신자)를 분리할 수 있다.연산의 매개변수화: 커맨드 객체를 사용하면 다양한 연산을 하나의 인터페이스를 통해 호출할 수 있다. 각 커맨드는 특정 연산을 수행하며, 이를 인터페이스로 추상화함으로써 클라이언트는 어떤 작업을 수행할지 결정할 수 있다.작업 취소 및 다시 실행(Undo/Redo): 커맨드 패턴을 사용하면 수행된 명령을 저장하고, 나중에 이 명령을 다시 실행하거나 취소할 수 있는 기능을 구현하기에 용이하다. 이는 Undo 및 Redo 기능을 지원하는 애플리케이션에서 유용하다.큐 형태의 명령 처리: 명령을 ..

디자인 패턴 2024.04.28

Chain Of Responsibility Pattern

책임 연쇄 패턴은 요청을 만족시킬 수 있는 객체를 연결하여 요청을 처리하는 패턴이다.장점요청을 보내는 객체와 요청을 처리하는 객체들 간의 결합을 피하며, 요청을 처리할 수 있는 객체를 동적으로 연결할 수 있게 한다.책임 연쇄 패턴이 사용되는 상황여러 객체가 순차적으로 처리되어야 할 경우요청이 처리할 수 있는 객체가 동적으로 변경되어야 하는 경우요청의 처리자를 명시적으로 지정하지 않고, 체인 상의 객체 중 하나가 처리를 담당할 수 있는 경우구성 요소Handler(처리자) 인터페이스 또는 추상 클래스요청을 처리하는 메서드를 선언한다.다음 처리자를 설정하는 메서드를 정의한다.ConcreteHandler(구체적인 처리자) 클래스Handler를 구현하며 실제로 요청을 처리하는 역할을 한다.자신이 처리할 수 있는 ..

디자인 패턴 2024.04.27

힙정렬

힙정렬(Heap Sort)은 선택 정렬의 한 종류로, 최대 힙(또는 최소 힙) 자료구조를 이용하여 정렬하는 알고리즘이다.힙정렬은 항상 n logn 이다.Heap이란?트리 기반의 데이터 구조로 완전 이진 트리이다.최대 힙 (Max Heap): 부모 노드의 값이 자식 노드의 값보다 크거나 같다. 루트 노드는 항상 최대 값을 가진다.최소 힙 (Min Heap): 부모 노드의 값이 자식 노드의 값보다 작거나 같다. 루트 노드는 항상 최소 값을 가진다.최소힙 예     1                  /  \                3    5               /  \   /  \             4  8  6  9기본적인 동작 방식주어진 배열을 최대 힙(또는 최소 힙) 구조로 만든다. 이는 ..

728x9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