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4/10/05 2

[Linux] NAT를 설정하는 방법

설정 요약IP 포워딩 활성화: 시스템이 내부 네트워크(eth0)와 외부 네트워크(eth1) 간에 패킷을 전달할 수 있도록 설정한다.마스커레이딩(Masquerading) 활성화: public 존(eth1 인터페이스)에서 마스커레이딩을 설정하여 내부 네트워크의 IP 주소를 외부 인터페이스의 공인 IP로 변환한다.네트워크 존 구성: 내부 인터페이스(eth0)를 internal 존으로 할당하고, 필요한 서비스(SSH, HTTP)를 허용한다.네트워크 인터페이스 확인내부 네트워크와 외부 네트워크에 연결된 인터페이스를 식별해야 한다. 다음 명령어로 현재 시스템의 네트워크 인터페이스를 확인할 수 있다:ip addr# 예시 출력:2: eth0: mtu 1500 ... inet 192.168.1.1/24 brd 1..

CS/Linux 2024.10.05

[Linux] Firewalld vs Iptables

CentOS 7부터 방화벽 관리 도구가 iptables에서 firewalld로 변경되었다.CentOS 6: 방화벽 기능과 설정 도구 모두 iptables를 사용한다.CentOS 7: 방화벽 기능은 iptables로 제공되지만, 설정 도구로는 firewalld를 사용한다. 명령어는 firewall-cmd이다.CentOS 8 이후: 방화벽 기능은 nftables로 제공되며, 설정 도구는 여전히 firewalld를 사용한다.Firewalld를 사용하는 이유동적 설정: firewalld는 실시간으로 방화벽 설정을 변경할 수 있어 서비스 중단 없이 보안 설정을 조정할 수 있다.유연한 관리: 존(Zone) 개념을 통해 네트워크 인터페이스별로 다른 보안 정책을 적용할 수 있어 관리가 용이하다.추상화된 인터페이스: f..

CS/Linux 2024.10.05
728x9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