CS

[Linux] 호스트네임 관리와 네트워크 설정

kyoulho 2024. 8. 26. 21:40

시스템 호스트네임 관리


리눅스 시스템에서 호스트네임은 시스템을 네트워크 상에서 식별하는 중요한 요소이다. 호스트네임은 네트워크 통신에서 다른 컴퓨터와의 연결 및 식별에 사용된다.

 

호스트네임 설정

hostnamectl 명령어는 시스템의 호스트네임을 설정하거나 변경하는 데 사용된다. 단순히 시스템의 이름을 설정하는 것 이상으로, 이 명령어는 시스템이 재부팅되더라도 설정된 호스트네임을 유지하게 하며, 네트워크 상에서의 시스템 정체성을 확립한다.

새로운 호스트네임을 설정하려면 다음과 같은 명령어를 사용한다.

sudo hostnamectl set-hostname new-hostname

이 명령어를 실행하면, 시스템의 호스트네임이 new-hostname으로 변경된다. 이 변경 사항은 즉시 적용되며, 시스템의 네트워크 식별자 역할을 하게 된다.

 

호스트네임 확인

현재 시스템의 호스트네임을 확인하려면 다음 명령어를 사용한다:

hostnamectl

 

결과:

   Static hostname: myserver
         Icon name: computer-vm
           Chassis: vm
        Machine ID: 2d7d8c83f35d453da82706223b9e0e76
           Boot ID: 765d8e8bff2d4ec68a435dd8cdd6a848
  Virtualization: kvm
Operating System: Ubuntu 20.04 LTS
          Kernel: Linux 5.4.0-73-generic
    Architecture: x86-64
  • Static hostname: 시스템의 정적 호스트네임. 시스템 재부팅 후에도 유지된다.
  • Icon name: 시스템의 아이콘 이름. 그래픽 사용자 인터페이스에서 시스템을 나타내는 아이콘의 이름이다.
  • Chassis: 시스템의 유형. 예를 들어, vm (가상 머신), desktop, laptop, server 등.
  • Machine ID: 시스템의 고유 식별자. UUID 형식으로 제공되며, 시스템을 고유하게 식별하는 데 사용된다.
  • Boot ID: 현재 부팅 세션의 고유 식별자. 시스템이 부팅할 때마다 변경된다.
  • Virtualization: 시스템의 가상화 상태. 예를 들어, kvm, docker, lxc 등.
  • Operating System: 현재 운영 체제의 이름과 버전.
  • Kernel: 현재 사용 중인 리눅스 커널의 버전.
  • Architecture: 시스템의 하드웨어 아키텍처. 예를 들어, x86-64는 64비트 x86 아키텍처를 의미한다.

 

로컬 DNS


호스트네임이 설정되었다면, 네트워크 상에서 특정 호스트네임과 IP 주소의 매핑을 관리하는 것이 중요하다. 이를 위해 리눅스 시스템에서는 /etc/hosts 파일을 사용한다.

 

/etc/hosts 파일

/etc/hosts 파일은 IP 주소와 호스트네임의 매핑을 저장하는 파일로, 시스템이 도메인 이름을 해석할 때 가장 먼저 참조한다. 이는 외부 DNS 서버를 사용하기 전에, 로컬에서 설정된 매핑을 우선적으로 사용하게 해 준다.

 

/etc/hosts 파일의 형식

이 파일은 각 줄에 IP 주소와 해당 호스트네임이 나열되어 있다. 기본 형식은 다음과 같다:

IP_address  hostname  alias(optional)

 

예시:

127.0.0.1   localhost
192.168.1.10 myserver.local myserver
  • 127.0.0.1 localhost: 로컬 루프백 주소로, 이 줄은 시스템이 자신을 가리킬 때 사용된다.
  • 커스텀 호스트: 네트워크 내에서 특정 IP와 호스트네임의 매핑을 추가로 설정할 수 있다.

'CS' 카테고리의 다른 글

[Linux] 개요  (1) 2024.09.15
[Linux] 파일 시스템(/etc/fstab)  (0) 2024.08.26
[Linux] 스왑 공간  (0) 2024.08.26
Blocking I/O & Non-Blocking I/O  (0) 2024.08.12
스레드의 종류  (0) 2024.08.1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