티스토리

풀소유
검색하기

블로그 홈

풀소유

kyoulho.tistory.com/m

Starting is the perfect condition

구독자
1
방명록 방문하기
728x90

주요 글 목록

  • 폐쇄망에서 브라우저가 SSL 인증서를 신뢰하는 방법 일반적으로 인터넷에서 웹사이트를 방문하면 브라우저는 해당 사이트의 SSL 인증서를 확인하고 신뢰할 수 있는지 판단합니다. 하지만 폐쇄망(Closed Network) 환경에서는 글로벌 인증 기관이 아닌 내부 인증 기관(Private CA)에서 발급한 인증서를 사용해야 합니다. 이때 브라우저가 내부 인증서를 신뢰하도록 설정하는 방법을 알아보겠습니다.1. 브라우저가 SSL 인증서를 신뢰하는 방식브라우저가 SSL 인증서를 신뢰하는 과정은 다음과 같습니다.인증서 체인 검증 (Certificate Chain Validation)SSL 인증서는 다음과 같은 체인 구조를 가집니다.루트 인증서 (Root CA) └── 중간 인증서 (Intermediate CA) └── 서버 인증서 (Server Certi.. 공감수 0 댓글수 0 2025. 3. 5.
  • [Linux] 마운트 개념 `df -h` 으로 이해하기 df -h 명령어란?df 명령어는 현재 시스템에 마운트 되어 있는 파일 시스템의 용량과 사용 현황을 보여줍니다. -h 옵션을 사용하면 사람이 읽기 편한 단위(GB, MB 등)로 표시하게 됩니다.예를 들어 다음과 같은 출력이 있을 수 있습니다.Filesystem Size Used Avail Use% Mounted on/dev/sda1 50G 30G 20G 60% //dev/sda2 100G 90G 10G 90% /home각 컬럼의 의미는 다음과 같습니다.Filesystem: 디스크 파티션 혹은 특정 스토리지 장치 경로Size: 해당 파일 시스템(파티션)의 총 용량Used: 현재 사용 중인 용량Avail: 남은 여유 용량Use%: 총 .. 공감수 1 댓글수 0 2024. 12. 11.
  • [Linux] NAT를 설정하는 방법 설정 요약IP 포워딩 활성화: 시스템이 내부 네트워크(eth0)와 외부 네트워크(eth1) 간에 패킷을 전달할 수 있도록 설정한다.마스커레이딩(Masquerading) 활성화: public 존(eth1 인터페이스)에서 마스커레이딩을 설정하여 내부 네트워크의 IP 주소를 외부 인터페이스의 공인 IP로 변환한다.네트워크 존 구성: 내부 인터페이스(eth0)를 internal 존으로 할당하고, 필요한 서비스(SSH, HTTP)를 허용한다.네트워크 인터페이스 확인내부 네트워크와 외부 네트워크에 연결된 인터페이스를 식별해야 한다. 다음 명령어로 현재 시스템의 네트워크 인터페이스를 확인할 수 있다:ip addr# 예시 출력:2: eth0: mtu 1500 ... inet 192.168.1.1/24 brd 1.. 공감수 0 댓글수 0 2024. 10. 5.
  • [Linux] Firewalld vs Iptables CentOS 7부터 방화벽 관리 도구가 iptables에서 firewalld로 변경되었다.CentOS 6: 방화벽 기능과 설정 도구 모두 iptables를 사용한다.CentOS 7: 방화벽 기능은 iptables로 제공되지만, 설정 도구로는 firewalld를 사용한다. 명령어는 firewall-cmd이다.CentOS 8 이후: 방화벽 기능은 nftables로 제공되며, 설정 도구는 여전히 firewalld를 사용한다.Firewalld를 사용하는 이유동적 설정: firewalld는 실시간으로 방화벽 설정을 변경할 수 있어 서비스 중단 없이 보안 설정을 조정할 수 있다.유연한 관리: 존(Zone) 개념을 통해 네트워크 인터페이스별로 다른 보안 정책을 적용할 수 있어 관리가 용이하다.추상화된 인터페이스: f.. 공감수 2 댓글수 0 2024. 10. 5.
  • [Linux] IP 주소를 얻는 내부 흐름 리눅스에서 IP 주소를 얻는 내부 흐름리눅스 시스템에서 호스트 이름을 IP 주소로 변환하는 과정은 여러 구성 파일과 설정에 의해 관리된다.호스트 이름 해석 요청: 애플리케이션이 호스트 이름(www.example.com)을 통해 네트워크 연결을 시도한다./etc/nsswitch.conf: 호스트 이름 해석 시 사용할 방법의 순서를 결정한다. 예를 들어, order hosts, bind라면 먼저 /etc/hosts 파일을 참조하고, 그 다음에 DNS를 조회한다./etc/hosts 파일 조회: 지정된 순서에 따라 /etc/hosts 파일을 먼저 조회하여 호스트 이름과 매핑된 IP 주소를 찾는다. 만약 매핑 정보가 존재하면 해당 IP 주소를 반환하고, 과정이 종료된다.DNS 서버 조회: /etc/hosts 파일.. 공감수 1 댓글수 0 2024. 10. 4.
  • [Linux] Xrdp 서버 Xrdp는 리눅스 서버에 원격 데스크탑 프로토콜(RDP)을 통해 접속할 수 있도록 해주는 오픈 소스 도구로, 윈도우의 원격 데스크탑과 유사한 환경을 제공한다.Xrdp 서버 설치Rocky Linux에 Xrdp 서버를 설치하기 위해 다음 단계를 따라 진행한다.1. 시스템 업데이트먼저, 시스템 패키지를 최신 상태로 업데이트한다.sudo dnf update -y2. EPEL 저장소 활성화Xrdp는 EPEL(Extra Packages for Enterprise Linux) 저장소에 포함되어 있으므로, EPEL 저장소를 활성화해야 한다.sudo dnf install epel-release -y3. Xrdp 설치EPEL 저장소가 활성화된 후, Xrdp 패키지를 설치한다.sudo dnf install xrdp -y4... 공감수 1 댓글수 1 2024. 10. 3.
  • [Linux] GUI 방화벽 설정 Rocky Linux는 주로 서버 환경에서 사용되며, 기본적으로 명령줄 인터페이스(CLI)를 통해 방화벽을 관리한다. 그러나 그래픽 사용자 인터페이스(GUI)를 선호하는 사용자들을 위해 몇 가지 GUI 도구를 사용할 수 있다.데스크탑 환경 설치 (선택 사항)서버에 데스크탑 환경이 설치되어 있지 않은 경우, GNOME을 설치할 수 있다. 다만, 서버에 GUI를 설치하면 시스템 자원이 추가로 소모되므로, 필요한 경우에만 설치하는 것이 좋다.sudo dnf groupinstall "Server with GUI"sudo systemctl set-default graphical.targetsudo systemctl isolate graphical.targetfirewall-configfirewall-config는.. 공감수 1 댓글수 1 2024. 10. 3.
  • [Linux] OpenSSH OpenSSHOpenSSH (Open Secure Shell)는 네트워크를 통해 안전하게 데이터를 전송하고 원격 시스템에 접속할 수 있도록 해주는 오픈 소스 툴이다. OpenSSH는 SSH 프로토콜을 구현하며, 다음과 같은 주요 기능을 제공한다:암호화된 통신: 모든 데이터 전송이 암호화되어 중간에서의 도청이나 패킷 스니핑 공격에 대비할 수 있다.인증 기능: 비밀번호 인증 외에도 공개 키 인증을 지원하여 보안을 강화할 수 있다.파일 전송: scp와 sftp를 통해 안전하게 파일을 전송할 수 있다.터널링 및 포트 포워딩: 네트워크 트래픽을 안전하게 전달하기 위한 터널링 기능을 제공한다.OpenSSH의 주요 특징보안성: 데이터가 암호화되어 전송되므로 보안에 매우 강력하다.유연성: 다양한 인증 방식과 설정 옵션.. 공감수 1 댓글수 1 2024. 10. 3.
  • [Linux] 텔넷 서버 텔넷 서버란?텔넷 서버는 네트워크를 통해 원격지의 컴퓨터에서 서버에 접속하여 작업을 수행할 수 있도록 해주는 서비스다. 텔넷은 데이터가 암호화되지 않아 중간에서 패킷을 가로채는 공격에 취약할 수 있다. 가능하다면 SSH(Secure Shell)를 사용하는 것을 권장한다.오랜 역사와 전통: 텔넷은 수십 년 동안 원격 접속 방법으로 널리 사용되어 왔다.보안 취약점: 텔넷은 데이터 전송 시 암호화가 되지 않아 보안에 취약하다. 따라서 민감한 정보 전송에는 적합하지 않다.클라이언트 프로그램 필요: 리눅스 서버에 텔넷 서버를 설치한 후, 원격지에서 접속하려면 텔넷 클라이언트 프로그램이 필요하다.직접 작업과 유사한 환경: 원격지의 PC에서 접속하면 서버 앞에 앉아 직접 텍스트 모드로 작업하는 것과 동일한 효과를 얻.. 공감수 1 댓글수 2 2024. 10. 3.
  • [Linux] 쿼터(Quota) 쿼터(Quota)란?쿼터는 파일 시스템에서 사용자나 그룹이 생성할 수 있는 파일의 용량 및 개수를 제한하는 기능이다. 이를 통해 시스템 자원을 효율적으로 관리하고, 특정 사용자가 과도한 자원을 사용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쿼터의 주요 기능용량 제한: 사용자 또는 그룹별로 사용할 수 있는 디스크 용량을 제한한다.파일 개수 제한: 사용자 또는 그룹이 생성할 수 있는 파일의 개수를 제한한다.공정한 자원 분배: 여러 사용자가 동시에 시스템을 사용할 때, 각 사용자에게 공평하게 자원을 분배할 수 있다.왜 쿼터를 설정해야 할까?파일 시스템을 루트(/) 파일 시스템으로 지정하여 모든 사용자가 이를 공유하게 되면, 다음과 같은 문제가 발생할 수 있다:성능 저하: 많은 사용자가 동시에 루트 파일 시스템을 사용하면, 서.. 공감수 2 댓글수 1 2024. 10. 3.
  • [Linux] LVM(Logical Volume Manager) LVMLVM(Logical Volume Manager)은 여러 개의 물리적 하드디스크나 파티션을 하나의 논리적 볼륨으로 합쳐 관리하는 기술이다. 이를 통해 디스크 공간을 유연하게 할당하고 조정할 수 있다. 필요에 따라 볼륨의 크기를 동적으로 확장하거나 축소할 수 있어 스토리지 관리에 큰 유연성을 제공한다.LVM의 주요 기능디스크 공간의 유연한 관리여러 개의 하드디스크를 하나의 논리적 볼륨으로 합쳐 사용할 수 있다. 예를 들어, 2TB 용량의 하드디스크 2개를 합쳐 4TB의 볼륨 그룹을 만들고, 이를 다시 1TB와 3TB의 논리 볼륨으로 나눠서 사용할 수 있다.동적인 볼륨 크기 조정운영 중인 시스템에서도 디스크 공간의 추가나 축소가 가능하다. 새로운 하드디스크를 추가하여 볼륨 그룹에 포함시키거나, 사용하지.. 공감수 1 댓글수 0 2024. 10. 2.
  • [Linux] RAID 문제 발생 시 RAID를 사용하여 데이터의 안정성과 성능을 높였지만, 가끔은 RAID 배열에 문제가 발생할 수 있다. 이럴 때 시스템은 응급 복구 모드로 부팅될 수 있으며, 빠른 조치가 필요하다. 응급 복구 모드응급 복구 모드(Emergency Mode)는 시스템 부팅 중 심각한 문제가 발생했을 때 최소한의 셸 환경을 제공하여 문제를 진단하고 복구할 수 있게 해준다. 이 모드에서는 파일 시스템이 읽기 전용으로 마운트되며, 네트워크 등 대부분의 서비스가 비활성화되어 있다.문제 진단하기먼저, 어떤 RAID 배열에 문제가 발생했는지 확인해야 한다.df 명령어로 파일 시스템 확인df 명령어는 디스크 공간 사용량과 마운트된 파일 시스템을 보여준다.df -h결과 분석: 마운트되지 않은 파일 시스템이나 접근할 수 없는 디스크를 확.. 공감수 1 댓글수 0 2024. 10. 1.
  • [Linux] /dev와 파티션 이해하기 요약디스크(물리적 장치):/dev/sda, /dev/sdb 등으로 식별되는 물리적 저장 매체이다.파티션(논리적 분할):디스크를 논리적으로 분할한 영역으로, /dev/sda1, /dev/sda2 등으로 식별된다.파일 시스템(데이터 조직화 구조):파티션 위에 생성되어 데이터를 저장하고 관리하는 구조를 제공한다.mkfs 명령어를 사용하여 파티션에 파일 시스템을 생성한다.마운트 포인트(접근 지점):파일 시스템을 디렉토리 트리에 연결하여 사용자와 애플리케이션이 접근할 수 있게 한다.mount 명령어를 사용하여 마운트하며, /mnt, /media, /home 등 다양한 디렉토리를 사용한다./dev 디렉토리/dev 디렉토리는 Unix 및 Linux 계열 운영체제에서 디바이스 파일(device files)이 위치한 특.. 공감수 4 댓글수 2 2024. 10. 1.
  • [Linux] RAID 설정하는 방법 전제 조건Rocky Linux가 설치된 시스템RAID 구성을 위한 두 개 이상의 빈 디스크 (예: /dev/sdb, /dev/sdc)root 권한 또는 sudo 사용 권한RAID 설정을 위한 패키지 설치RAID 구성을 위해서는 mdadm 패키지가 필요하다. mdadm은 리눅스에서 소프트웨어 RAID를 관리하는 도구이다.sudo dnf install mdadm -y디스크 확인디스크 목록 확인sudo fdisk -l위 명령으로 시스템에 연결된 디스크 목록을 확인한다. 예를 들어, /dev/sdb와 /dev/sdc를 사용한다고 가정한다.디스크 파티션 설정각 디스크에 RAID 파티션을 생성한다.sudo fdisk /dev/sdbfdisk에서 아래와 같이 입력한다:n 을 눌러 새 파티션 생성파티션 번호 선택 (기.. 공감수 0 댓글수 0 2024. 10. 1.
  • RAID(Redundant Array of Inexpensive Disks) RAID는 여러 개의 하드디스크를 하나의 논리적 디스크처럼 사용하여 데이터 저장의 비용 절감, 신뢰성 향상, 성능 향상의 효과를 내는 기술이다. 원래는 "저렴한 디스크의 중복 배열(Redundant Array of Inexpensive Disks)"을 의미했지만, 오늘날에는 "독립 디스크의 중복 배열(Redundant Array of Independent Disks)"로도 불린다.RAID를 사용하면 데이터 손실의 위험을 줄이고, 디스크 입출력 성능을 향상시키며, 저장 공간을 효율적으로 활용할 수 있다.RAID의 구현 방식하드웨어 RAID특징: 전용 하드웨어 컨트롤러를 사용하여 RAID를 구현한다.장점: 더 안정적이고 성능이 우수하다.단점: 전용 하드웨어를 필요로 하므로 비용이 높다.소프트웨어 RAID특징.. 공감수 0 댓글수 0 2024. 10. 1.
  • [Linux] 하드웨어 디스크 추가하는 방법 1. 하드웨어 디스크 추가하기서버 전원 끄기: 안전을 위해 서버의 전원을 완전히 끈다.디스크 연결:새로운 하드 디스크를 메인보드의 사용 가능한 SCSI 또는 SATA 슬롯에 연결한다.SCSI 디스크 추가 시:사용 가능한 SCSI 슬롯(예: SCSI 0:1)에 디스크를 장착한다.SATA 디스크 추가 시:사용 가능한 SATA 슬롯(예: SATA 0:1)에 디스크를 장착한다.연결 확인: 케이블과 전원 연결이 올바른지 확인한다.서버 전원 켜기: 서버를 다시 켠다.2. 새로운 디스크 인식 확인sudo fdisk -l이 명령어는 시스템에 연결된 모든 디스크와 파티션 정보를 출력한다. 출력 결과에서 새로운 디스크(/dev/sdb, /dev/sdc 등)가 인식되었는지 확인한다.3.fdisk 실행fdisk는 디스크 파티.. 공감수 0 댓글수 0 2024. 10. 1.
  • [Linux] 부트로더 컴퓨터를 켰을 때 가장 먼저 실행되는 프로그램이 부트로더(Bootloader)이다. 부트로더는 운영체제를 메모리에 로드하고 실행하는 역할을 하며, 하드웨어와 운영체제 사이에서 중개자 역할을 한다.부트로더의 주요 기능운영체제 로딩: 부트로더는 디스크에서 운영체제 커널을 찾아 메모리에 로드한다.멀티부팅 지원: 여러 운영체제가 설치된 경우 선택적으로 부팅할 수 있도록 메뉴를 제공한다.부트 설정 관리: 부팅 옵션과 파라미터를 설정하여 시스템의 부팅 방식을 제어한다.대표적인 부트로더 종류GRUB(Grand Unified Bootloader): 리눅스에서 가장 널리 사용되는 부트로더로, 다양한 파일 시스템과 운영체제를 지원한다.LILO(Linux Loader): 초기 리눅스 시스템에서 사용되던 부트로더로, 현재는 .. 공감수 0 댓글수 0 2024. 9. 29.
  • [Linux] 파이프, 프로세스, 서비스 파이프 (Pipe)파이프는 두 개의 프로그램을 연결해 주는 통로이다. 이를 통해 한 프로그램의 출력을 다른 프로그램의 입력으로 전달할 수 있다. 파이프는 | 문자를 사용하여 표현한다.파이프 사용 예시ls -l /etc | more위 명령어는 /etc 디렉토리의 상세 목록을 ls -l /etc 명령어로 출력한 후, 그 출력을 more 명령어를 통해 페이지 단위로 보여준다. 이렇게 하면 긴 목록을 한 화면씩 확인할 수 있어 편리하다.필터 (Filter)필터는 데이터의 특정 부분만을 걸러내어 필요한 정보만 추출하는 명령어들이다. 필터는 주로 파이프와 함께 사용되며, 데이터를 가공하거나 검색할 때 유용하다. 대표적인 필터 명령어로는 grep, tail, wc, sort, awk, sed 등이 있다.필터 사용 예.. 공감수 2 댓글수 1 2024. 9. 28.
  • [Linux] 주요 네트워크 명령어 및 설정 파일 nmtuinmtui는 NetworkManager의 텍스트 기반 사용자 인터페이스로, 네트워크와 관련된 대부분의 작업을 이 명령어를 통해 수행할 수 있다. 이를 통해 자동 IP 주소 설정 또는 고정 IP 주소 사용 여부를 결정하고, IP 주소, 서브넷 마스크, 게이트웨이 정보 및 DNS 정보를 입력할 수 있다. 또한, 네트워크 카드 드라이버 설정과 네트워크 장치의 세부 설정도 가능하며, 텍스트 기반으로 작동하여 GUI 환경 없이도 쉽게 네트워크를 관리할 수 있다.nmtui로 네트워크 설정을 변경한 후에는 변경된 내용을 시스템에 적용해야한다.sudo nmtuisudo systemctl restart NetworkManagerifconfigifconfig 명령어는 네트워크 인터페이스의 상태를 제어하고 정보를 .. 공감수 1 댓글수 0 2024. 9. 27.
  • [Linux] CRON과 AT CRONCRON은 리눅스에서 주기적으로 명령어나 스크립트를 실행할 수 있게 해주는 스케줄링 도구이다. 주로 정기적인 시스템 유지보수 작업이나 백업 작업 등에 사용된다.crondcrond는 CRON 작업을 관리하고 실행하는 백그라운드 데몬이다. 시스템이 부팅될 때 자동으로 시작되며, 사용자와 시스템의 crontab 파일을 주기적으로 확인하여 예약된 작업을 실행한다./etc/crontab/etc/crontab는 시스템 전체에 적용되는 crontab 파일로, 사용자별 crontab과는 다르게 사용자 필드가 포함되어 있다. 이 파일은 시스템 관리자가 주기적인 시스템 작업을 설정할 때 주로 사용된다. 기타 시스템 crontab 파일:/etc/cron.d/: 추가적인 crontab 파일을 저장하는 디렉토리로, 패키.. 공감수 0 댓글수 0 2024. 9. 22.
  • [Linux] 파일 위치 검색 find 명령어 기본 구조find [경로] [옵션] [조건] [액션]경로: 검색을 시작할 디렉토리 경로. 예를 들어 /home/user.옵션: 검색 방식을 조정하는 옵션들.-type: 파일의 유형을 지정한다. 예: f (파일), d (디렉토리), l (심볼릭 링크) 등.-name: 파일 이름을 기준으로 검색한다. 와일드카드(*, ?)를 사용할 수 있다.-user: 특정 사용자가 소유한 파일을 검색한다.-newer: 지정한 파일보다 최근에 수정된 파일을 검색한다.-perm: 특정 권한을 가진 파일을 검색한다.-size: 파일 크기를 기준으로 검색한다. 예: +100M (100MB 이상), -50k (50KB 이하) 등.-mtime: 파일의 마지막 수정 시간을 기준으로 검색한다. 예: +30 (30일 이상).. 공감수 0 댓글수 1 2024. 9. 22.
  • [Linux] 파일의 압축과 묶기 파일 압축파일 압축은 여러 파일이나 디렉토리를 하나의 파일로 줄여 저장 공간을 절약하고, 전송 속도를 향상시키는 방법이다. 다양한 압축 형식이 존재하며, 각각의 특성과 장단점이 있다.주요 압축 형식XZ: 높은 압축률을 제공하며, 주로 소스 코드 패키지나 백업 파일에 사용된다.Bzip2 (bz2): XZ와 비슷하게 높은 압축률을 제공하지만, 압축 및 해제 속도는 조금 느리다.Gzip (gz): 빠른 압축 및 해제 속도를 제공하지만, 압축률은 XZ나 Bzip2보다 낮다.Zip: 윈도우 환경에서 널리 사용되며, 다양한 플랫폼에서 호환성이 좋다.Z: 오래된 압축 형식으로, 현재는 잘 사용되지 않는다.일반적으로 XZ나 Bzip2는 Gzip보다 더 높은 압축률을 제공하지만, 압축 및 해제 속도는 다소 느릴 수 있다.. 공감수 0 댓글수 1 2024. 9. 22.
  • [Linux] 패키지 관리자 RPMRPM은 리눅스에서 소프트웨어를 설치하고 관리하는 기본 도구다. 마치 Windows에서 프로그램을 설치할 때 사용하는 setup.exe 파일과 비슷한 역할을 한다. RPM 패키지는 .rpm 확장자를 가진 파일로, 특정 소프트웨어나 프로그램을 담고 있다. 이 파일을 설치하면 해당 프로그램이 시스템에 설치된다. RPM 패키지의 파일명은 다음과 같은 형식을 따른다.패키지이름-버전-릴리즈번호.리눅스버전.아키텍처.rpm예를 들어 nginx-1.18.0-1.el8.x86_64.rpm이라는 파일이 있다면, 이는 nginx라는 프로그램의 1.18.0 버전이며, RHEL 8용 64비트 시스템(x86_64)에서 사용된다는 뜻이다. RPM 명령어패키지 설치: 터미널에서 다음 명령어를 입력한다.-U: 설치 또는 업그레이.. 공감수 2 댓글수 1 2024. 9. 22.
  • [Linux] 하드 링크와 심볼릭 링크 요약하드 링크는 원본 파일과 동일한 inode를 공유하여 동일한 데이터를 참조하며, 원본 파일이 삭제되어도 다른 하드 링크가 존재하면 데이터에 접근할 수 있다.심볼릭 링크는 원본 파일의 경로를 가리키는 별도의 파일로, 원본 파일이 삭제되면 링크가 더 이상 유효하지 않다.하드 링크는 동일한 파일 시스템 내에서만 생성 가능하지만, 심볼릭 링크는 다른 파일 시스템 간에도 생성할 수 있다.각 링크의 특성과 장단점을 이해하고 적절한 상황에 맞게 활용하는 것이 중요하다. inode와 데이터 블록의 역할파일 시스템에서 inode는 파일의 메타데이터(파일의 크기, 소유자, 권한 등)와 파일이 저장된 데이터 블록의 위치를 저장하는 역할을 한다. 원본 파일은 하나의 inode를 가지고 있으며, 이 inode는 실제 데이터.. 공감수 4 댓글수 1 2024. 9. 20.
  • [Linux] 사용자와 그룹 사용자(User)란?사용자(user)는 리눅스 시스템에서 자원을 사용할 수 있는 개별적인 계정을 의미한다. 각 사용자는 고유한 사용자 이름과 사용자 ID(uid)를 가지며, 시스템 내에서 특정 권한과 접근 권한을 부여받는다.리눅스는 다중 사용자 시스템이며 root라는 이름을 가진 슈퍼유저가 있다.그룹(Group)이란?그룹(group)은 여러 사용자를 하나로 묶어 공통된 권한을 부여하기 위한 단위이다. 각 그룹은 고유한 그룹 이름과 그룹 ID(gid)를 가지며, 그룹에 속한 모든 사용자는 동일한 그룹 권한을 공유하게 된다.사용자와 그룹의 관계리눅스 시스템에서는 사용자가 하나 이상의 그룹에 속할 수 있으며, 이를 통해 파일과 디렉토리에 대한 접근 권한을 세밀하게 관리할 수 있다. 기본적으로 각 사용자는 하나.. 공감수 1 댓글수 1 2024. 9. 18.
  • [Linux] 마운트 마운트(mount)는 외부 저장 장치나 파일 시스템을 리눅스의 디렉토리 트리에 연결하는 과정을 의미한다. 이를 통해 사용자는 외부 장치의 데이터를 로컬 파일처럼 접근하고 조작할 수 있다.파일 시스템 접근성 향상: 외부 장치의 데이터를 로컬 파일 시스템과 동일하게 사용할 수 있다.데이터 관리 용이성: 다양한 저장 장치를 효율적으로 관리하고 사용할 수 있다.시스템 확장성: 필요에 따라 저장 용량을 쉽게 확장할 수 있다. 마운트의 종류 및 사용 사례리눅스에서는 다양한 마운트 방법과 옵션을 제공하여 사용자가 필요에 맞게 외부 장치를 관리할 수 있도록 한다. 아래는 주요 마운트 종류와 사용 사례를 정리한 표이다.마운트 종류설명사용 사례자동 마운트(Auto Mount)시스템 부팅 시 자동으로 마운트되는 방식USB .. 공감수 0 댓글수 0 2024. 9. 18.
  • [Linux] vi 에디터 vi 에디터는 리눅스와 유닉스 계열 운영체제에서 기본적으로 제공되는 텍스트 편집기다. 빠른 속도와 강력한 기능으로 인해 많은 시스템 관리자와 개발자들이 선호한다. vi는 다양한 모드로 작동하며, 효율적인 텍스트 편집을 가능하게 한다. vi의 모드vi는 크게 두 가지 모드로 구성된다:명령 모드 (Command Mode): 기본 모드로, 커서 이동이나 텍스트 편집 명령을 입력할 수 있다.입력 모드 (Insert Mode): 텍스트를 실제로 입력할 수 있는 모드다.모드 전환은 다음과 같이 한다:명령 모드에서 입력 모드로 전환: i, a, o 등을 누른다.입력 모드에서 명령 모드로 전환: Esc 키를 누른다. 기본 조작법커서 이동vi의 강력한 기능 중 하나는 효율적인 커서 이동이다. 명령어기능설명h왼쪽으로 이동.. 공감수 1 댓글수 1 2024. 9. 18.
  • [Linux] 런레벨 런레벨의 개념런레벨(runlevel)은 리눅스 시스템의 운영 모드를 정의하는 숫자 또는 이름이다. 각 런레벨은 시스템이 어떤 서비스와 데몬을 실행할지를 결정한다. 현대적인 배포판에서는 systemd를 사용하여 타겟(target)이라는 개념으로 런레벨을 관리한다. 런레벨의 종류아래는 systemd에서 사용되는 타겟과 전통적인 런레벨 간의 대응 관계를 나타낸 표이다.런레벨영문 모드systemd 타겟설명0Power Offrunlevel0.targetpoweroff.target시스템 종료 모드이다. 시스템을 안전하게 종료한다.1Rescuerunlevel1.targetrescue.target구조 모드(단일 사용자 모드)이다. 최소한의 서비스만 실행된다.3Multi-Userrunlevel3.targetmulti-u.. 공감수 0 댓글수 0 2024. 9. 18.
  • [Linux] 가상 콘솔 가상 콘솔이란?가상 콘솔은 하나의 물리적인 키보드와 모니터로 여러 개의 독립된 터미널 세션을 제공하는 기능이다. 리눅스는 기본적으로 여러 개의 가상 콘솔을 지원하며, 사용자는 간단한 키 조합으로 콘솔 간 전환이 가능하다.주요 특징다중 사용자 환경 지원: 여러 사용자가 동시에 로그인하여 작업할 수 있다.서버 관리 편의성: 그래픽 환경 없이도 여러 작업을 병렬로 수행할 수 있다.시스템 디버깅 및 유지보수: X 서버나 데스크톱 환경에 문제가 발생했을 때 유용하다.주의 사항원격 접속 시: SSH 등을 통해 원격으로 접속하는 경우 가상 콘솔은 영향을 받지 않는다.클라우드 및 가상 머신 환경: 물리적인 서버에서는 가상 콘솔이 유용하지만, 클라우드나 가상 머신 환경에서는 가상 콘솔에 직접 접근하기 어렵다.보안 경고:.. 공감수 0 댓글수 0 2024. 9. 18.
  • [Linux] 개요 LinuxLinux는 1991년 핀란드의 대학생 리누스 토르발스(Linus Torvalds)가 개발한 오픈 소스 커널(kernel)이다. 처음에는 개인 프로젝트로 시작되었지만, 전 세계 개발자들의 참여로 빠르게 성장하여 오늘날 다양한 분야에서 사용되고 있다.특징오픈 소스: 소스 코드가 공개되어 누구나 수정 및 배포가 가능하다.유연성: 다양한 하드웨어와 소프트웨어 환경에서 동작하도록 설계되었다.다양한 배포판: Ubuntu, Fedora, Debian 등 수많은 배포판이 존재하여 선택의 폭이 넓다.안정성과 보안성: 서버, 데스크톱, 임베디드 시스템 등에서 높은 안정성과 보안성을 제공한다. 커널이란 무엇인가?커널(kernel)은 운영체제의 핵심 구성 요소로, 하드웨어와 소프트웨어 간의 상호 작용을 관리한다. .. 공감수 1 댓글수 1 2024. 9. 15.
    728x90
    문의안내
    • 티스토리
    • 로그인
    • 고객센터

    티스토리는 카카오에서 사랑을 담아 만듭니다.

    © Kakao Corp.